ITRC 사업단, 대규모 데이터센터 기술동향 및 응용 세미나 개최
대규모 데이터센터 기술동향 및 응용 세미나 개최ITRC사업단 대규모 데이터센터용 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연구센터에서는 지난2월28일(수),정하상관3층에 위치한 세미나룸에서‘대규모 데이터센터 기술동향 및 응용 세미나’를 개최하였다.이날 세미나는 본 사업 연구책임장인 강석주 교수를 비롯한ITRC참여교수들과Intel나승주 상무, HPE Korea유충근 상무등 기관의 주요 관계자가 참석하였으며AI발전과 반도체 공정,패키징 기술/ Accelerated Computing in HPC&AI / Data Center Technical Trends을 주제로3개의 세션으로 진행되었다.강석주ITRC사업단장은 본 세미나를 통해“산업체 수요 중심의 실증적인 연구와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창의적,융합형 전문가들을 육성하는 연구센터로 성장할 것”이라며 기대와 비전을 밝혔다.대학ICT연구센터 사업은 지난2023년7월 시작으로 올해2단계 사업을 진행하였으며AI반도체설계,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및 인력양성을 목표로 서강대학교를 비롯하여 고려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단국대학교 및 삼성전자를 포함16개 기업이 참여한다.
24 - 03 - 05
삼성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고급인재양성을 위한 협력’ 체결
삼성디스플레이와‘디스플레이 고급인재양성을 위한 협력’체결▲(왼쪽부터)심종혁 총장,삼성디스플레이 이청 사업부장본교와 삼성디스플레이가2월6일(화)본관2층 회의실에서‘디스플레이 분야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를 위한 협약식’을 체결하였다.이날 협약식에는 심종혁 총장,전성훈 교학부총장,최정우 공과대학장,본 트랙 운영위원장인 강석주 교수와 삼성디스플레이 이청 사업부장,이관희 부사장,유호창 상무 등 양 기관의 주요 관계자가 참석하였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갈수록 첨예해지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긴밀히 협업하여 해당 분야의 미래 경쟁력과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삼성디스플레이는 국내 대학들과2019년부터 운영해온 채용 연계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디스플레이 트랙'을 기존3개 대학에서 본교를 포함한8개 대학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협약에 따라 본교는 디스플레이 분야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고,삼성디스플레이는 본교 장학생들에게 등록금 및 학업장려금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심종혁 총장은“이번 협약을 발판으로 향후 상호 협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활동을 수행하는 것은 많은 의의가 있다”라며, “서강대학교의 공동연구와 산학협력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본MOU를 통해 양 기관의 협력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삼성디스플레이 이청 사업부장은“심화되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술 패권 경쟁에서 차세대 기술 우위를 위한 전문 인력 육성이 최우선 과제”라며“체계적인 인재 육성 시스템을 갖춘 서강대와의 이번 협력은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을 이끌어갈 우수 인재를 확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24 - 02 - 08
서강대학교 지능형반도체 BK사업단 및 인공지능시스템반도체 연구센터와 비전넥스트 간 차세대 영상 솔루션 연구 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식 개최
서강대학교 지능형반도체 BK사업단 및 인공지능시스템반도체 연구센터와 비전넥스트 간 차세대 영상 솔루션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식 개최▲(왼쪽부터)박진홍 개발 센터장, 강석주 BK사업단장/ITRC센터장12월 14일(목), 본교의 지능형반도체 BK사업단과 인공지능시스템반도체 연구센터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비전넥스트와 '차세대 영상 솔루션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비전넥스트의 박진홍 개발센터장과 서강대학교의 강석주 BK사업단장/ITRC센터장, 윤광석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단장을 비롯한 양 기관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양 기관 간의 협약으로 △차세대 영상 솔루션의 공동 개발 및 상용화 협력 추진 △교육 및 연구개발 목적의 인적 교류 △현장실습, 인턴십 및 신입사원 채용 등 인력 양성 협력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양 기관은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되었다.강석주 BK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혁신적이고 경쟁력 있는 영상 솔루션을 개발하고, 첨단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들을 육성하여 국내외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기대와 비전을 밝혔다. 박진홍 개발 센터장은 "이러한 산업 협력을 통해 학계와 산업이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형성하며,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본교와 비전넥스트는 차세대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며,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양 기관은 협력을 통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경제의 선도적인 주역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업무 협약시 양기관 참석자 사진
23 - 12 - 20
윤광석 교수 연구팀, 국제 저명 저널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논문 게재
윤광석 교수 연구팀,국제 저명 저널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논문 게재▲(상단) 전자공학과 윤광석 교수, 이은혁 석사과정 졸업생 (하단) 김기홍 박사과정 졸업생, 한재호 석박사통합과정전자공학과 이은혁 석사과정 졸업생,김기홍 박사과정 졸업생,한재호 석박사통합과정생(지도교수 윤광석)의 논문이 국제 저명 저널인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2022년 기준JCR Impact Factor 7.7,상위6.3%)에 게재 승인되었다.해당 논문은 압저항,압전,슈퍼커패시터 스레드로 구성된 섬유 구조의 자가발전형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제안한 시스템은 에너지 생성을 위한 다기능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압저항 변형률,동작 감지를 위한 정전용량형 촉각 센서,에너지 저장을 위한 슈퍼커패시터로 구현된다.이는 직조 구조나 섬유 형태로 제작되므로 다양한 웨어러블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시스템 개략도-논문명: Flexible Textile Structures Composed of Various Functional Threads and Managing Circuitry for Self-Powered Wearable Sensor System-저널명: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IF 7.7, JCR상위6.3%)
23 - 12 - 13
최현지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 반도체 설계 올림픽 ‘ISSCC 2024’ 논문 채택
최현지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반도체 설계 올림픽‘ISSCC 2024’논문 채택▲(왼쪽부터) 전자공학과 홍성완 교수, 최현지 박사과정본교 전자공학과 최현지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의 논문이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학회‘국제고체회로학회(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이하ISSCC) 2024’에 채택되었다.ISSCC는1954년 처음 개최된 회로 분야 최고 국제학술대회로,반도체 회로 분야 학회 중 가장 높은 권위와 큰 규모를 자랑하며 이른바‘반도체 설계 올림픽’으로 불린다.채택된 논문의 제목은 'A 92.7% Peak Efficiency 12V-to-60V Input to 1.2V Output Hybrid DC-DC Converter based on a Series-Parallel-connected Switched capacitor'이다.최현지 박사과정생은 전기차 내부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압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매우 낮은 전압변환비를 가지는Hybrid DC-DC Buck Converter를 설계하였다.본 논문은Series-parallel-connected Switched Capacitor (SPCSC)구조를 제시하여,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면서 다수의 낮은 내압의 소자의 사용으로 높은 효율을 달성하였다.
23 - 11 - 29
박효진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 반도체 설계 올림픽 ‘ISSCC 2024’ 논문 채택
박효진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반도체 설계 올림픽‘ISSCC 2024’논문 채택▲(왼쪽부터) 전자공학과 홍성완 교수, 박효진 박사과정본교 전자공학과박효진 박사과정(지도교수 홍성완)의 논문이 내년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반도체 설계 올림픽인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 2024에 채택되었다.ISSCC는 회로 설계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반도체 학회로,이번ISSCC 2024에서 한국은49편의 논문을 채택시켜 중국과 미국에 이어 논문 채택 수3위에 올랐고,홍성완 교수 연구팀의 논문‘A 97.18% Peak-Efficiency Asymmetrically Implemented Dual-phase (AID) Converter with a full Voltage-Conversion Ratio (VCR) between 0-and-1‘이 채택되었다.박효진 박사과정은최근 휴대용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High-Performance SoC에 적합한 파워를 공급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의DC-DC Buck Converter를 설계하였다.본 논문에서는Asymmetrically Implemented Dual-phase (AID)구조를 제시하여 이전 연구들보다 외부 소자를 적게 사용하고Voltage-Conversion Ratio가0-1로 넓으면서도 동시에 높은 효율을 달성하였다.
23 - 11 - 28
강석주 교수 연구팀, ‘2023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부 장관상 수상
강석주 교수 연구팀,‘2023산학프로젝트 챌린지’산업부 장관상 수상▲(왼쪽부터) 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 조유빈 석사과정 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 연구팀(조유빈 석사과정)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가 주최한2023산학프로젝트 챌린지에서“차량용 멀티모달 신호 기반 영상분할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연구”를 주제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수상한 프로젝트는 기존의 자율주행 영상 분할 딥러닝 기술은 정해진category에 대해서만 예측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해결하고자vision-language멀티모달 기반 영상분할 모델 연구를 수행하여 제약 없는 언어표현에 대해서도 예측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또한,비전 인코더와 언어 인코더의 효과적인 융합을 위한 네트워크를 설계하여 향상된 성능을 달성하였다.▲2023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사진한편,올해로4회째 진행되는 산학프로젝트 챌린지는‘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다양한 성과를 겨루는 행사로 석박사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나타나는 기술적 문제를 기업과 함께 연구한 산학 프로젝트 성과를 공유하고 경연하는 대회이다.
23 - 11 - 23
강석주 교수 연구팀, Computer Vision 분야 Premiere Conference 'WACV 2024' 논문 채택
강석주 교수 연구팀,Computer Vision분야Premiere Conference 'WACV 2024'논문 채택▲(위 왼쪽부터)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강병우 석사과정생(아래 왼쪽부터) 문승훈 석박사통합과정생,조유빈 석사과정생,유현우 석박사통합과정생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 연구팀(강병우 석사과정생,문승훈 석박사통합과정생,조유빈 석사과정생,유현우 석박사통합과정생)이Computer Vision분야Premiere Conference인WACV 2024에 발표한 논문이 최종 채택되었다.논문 제목은‘MetaSeg: MetaFormer-based Global Contexts-aware Network for Efficient Semantic Segmentation’으로,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query와key의feature channel을 축소해 계산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기존 방법들 대비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self-attention mechanism인CRA(Channel Reduction Attention)를 제안하였다.또한CRA를token mixer로 구현한GMB(Global Meta Block)를decoder부분에 결합시킨semantic segmentation네트워크인MetaSeg를 제안하여 낮은 계산 비용으로 가장 우수한semantic segmentation성능을 달성하였다.▲논문에서 제안한CRA매커니즘 ▲기존State-Of-The-Art(SOTA)방법과의semantic segmentation성능 비교 사진한편, IEEE/CVF에서 주관하는WACV 2024은 오는2024년1월4일부터1월8일까지Waikoloa Beach Marriott Resort, Hawaii에서 개최될 예정이다.▶논문제목: MetaSeg: MetaFormer-based Global Contexts-aware Network for Efficient Semantic segmentation▶저자 정보:강병우(공동 제1저자),문승훈(공동 제1저자),유현우(공동 제1저자),조유빈(공동 제1저자),강석주 교수(교신저자,서강대)
23 - 11 - 06
강석주 교수 연구팀, Computer Vision 분야 Premiere Conference 'WACV 2024' 논문 채택
강석주 교수 연구팀,Computer Vision분야Premiere Conference 'WACV 2024'논문 채택▲(위 왼쪽부터)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양창희 석사과정생(아래 왼쪽부터)강찬희 석사과정생,공경보 부산대 교수(본교 졸업생)전자공학과 강석주 교수 연구팀(양창희 석사과정생,강찬희 석사과정생,공경보 부산대 교수)이computer vision분야premiere conference인WACV 2024에 발표한 논문이 최종 채택되었다.논문 제목은‘Human Motion Aware Text-to-Video Generation with Explicit Camera Control’으로,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입력 텍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의 골격을 생성하고,생성된 골격을 바탕으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을 생성하는 모델을 최초로 제안하였다.이는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을 생성하는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설계하여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이번 연구에 참여한 강찬희 석사과정생은“대학원 첫 학기 중WACV등재가 확정되어 매우 영광이며,서강대 대학원생 및 모든 연구실 학생들에게 동기부여가 되기를 희망한다.앞으로도 더 많은 본교 학생들이 국제학회에 논문을 많이 제출하고,등재까지 이어지는 좋은 결과를 맺기를 기원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논문에서 제안한 모델 구조▲논문에서 해결한3가지 동영상 생성 모델의 문제점▲논문의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적용하지 않은 결과와의 비교한편, IEEE/CVF에서 주관하는WACV 2024는2024년도1월4일부터8일까지 하와이 와이콜로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논문 제목: Human Motion Aware Text-to-Video Generation with Explicit Camera Control
23 - 11 - 06